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발간물 - 경제안보 Review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경제안보외교센터
  5. 발간물 - 경제안보 Review
글자크기

경제안보 Review 24-18호(국내외 배터리 안전 관련 정책 동향, 미국 핵심광물 정책 동향, 중국의 과잉생산 대응 관련 전문가 시각 소개)

부서명
경제안보외교과
작성일
2024-10-14
조회수
1226

경제안보외교센터는 '경제안보 Review'  24-18호 (10.11일자 발간)을 작성하였습니다. 

24-18호에서 포함하고 있는 보고서의 제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경제안보분석) 국내 및 주요국 배터리 안전 관련 정책 동향

(경제안보현안) 미국의 핵심광물 공급망 정책과 향후 전망

(경제안보연구동향) 중국의 과잉생산 문제 대응 관련 전문가 시각 소개

   Stopping the Next China Shock: A Collective Strategy for Countering Beijing’s Mercantilism

  (’24.8.20. / Foreign Affairs / AARON L. FRIEDBERG)


*경제안보 Review는 2023년 1월부터 격주로 발간되는 경제안보외교센터의 정기간행물로

  경제안보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

(경제안보분석) 국내 및 주요국 배터리 안전 관련 정책 동향

황지현 전문관


■ (배경) 배터리 화재 사고가 지속적으로 이슈화됨에 따라 배터리 안전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으며, 국내외 배터리 안전 관련 정책 동향을 검토해볼 필요성 또한 증대

○ 인천 아파트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2024.8.1.) 이후 우리 정부가 마련한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 등을 살펴보고, EU․중국 등 해외 주요국의 배터리 안전 관련 규제를 검토

■ (국내 정책) 우리 정부는 전기차 중심의 배터리 안전성 및 정보 투명성 제고 정책을 추진

○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2024.9.6.)을 통해 ▴전기차 배터리 관리 강화 ▴사업자 책임 강화 ▴배터리 안전성 확보 등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을 규제하고 세부 대책을 마련

○ 전기차 배터리 정보 공개를 의무화*하여 배터리 셀 제조사, 형태, 주요 원료 등의 정보를 공유

* 기존의 배터리 정보 공개 권고에 따른 배터리 제조사 통합 안내에 이어, 배터리 정보 공개 의무를 법제화

○ 배터리 이력관리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여 全주기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글로벌 규제에 대응

■ (주요국 정책) EU, 중국, 미국 등 해외 주요국은 배터리 안전과 관련하여 다양한 정책을 도입

○ (EU) 지난 2월부터 EU 배터리법을 시행하여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배터리 사용을 촉진

- (규제 내용) ▴배터리 회수 ▴재활용 원료 사용 ▴지속가능성 및 안전성 ▴배터리 여권 도입 등

○ (中) 리튬이온 배터리 산업 규범 조건을 통해 배터리의 안전 및 품질에 대한 규범을 마련

- (표준 규범) ▴배터리 생산․공정 ▴배터리 성능 ▴안전․품질 관리 ▴자원 활용 및 환경 보호 등

○ (美) 배터리 산업 전반에 대해 안전 지침을 제안하여 전기차․ESS 등의 안전 기준을 상세 규정

- (안전 기준) ▴전기차 배터리 안전요건 표준(FMVSS No. 305a) ▴ESS 설치 지침(NFPA 855) 등

■ (시사점) 배터리 안전 규제를 통해 배터리 자체의 안전성을 강화하고 전기차 캐즘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EU 배터리법 등 해외 주요국의 배터리 안전 규제에 대응하고 국내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


==========================================================================================


(경제안보현안) 미국의 핵심광물 공급망 정책과 향후 전망

유아름 전문관


■ 美中 간 전략경쟁 심화에 따라 미국 내 핵심광물 공급망 취약성 관련 우려가 증가하면서 미국 내 생산역량 강화 및 공급망 다변화 필요성이 대두  

○ 특히, 2011년 중국이 對日 희토류 수출을 금지하자 희토류를 포함한 핵심광물이 자원무기화 되며 국가안보 문제로 부상

※ 희토류는 첨단산업과 군용 물자에 사용되며 전투기 (F-35) 1대 당 417kg, 이지스 구축함 알리버크급 한 척에는 2,358kg 희토류 필요

○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성 우려가 美 행정부 내 지속 제기되면서 핵심광물 공급망 관련 정책 수립이 진행


■ 향후 미국의 핵심광물 정책에서 ▲미국 내 핵심광물 산업 촉진 ▲중국 대체 핵심광물 공급망 구축 기조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

- (해리스/민주당) MSP 등 現 바이든 행정부의 핵심광물 공급망 정책을 승계할 것으로 예상

- 미국 내 청정에너지 생산과 보급 확대를 통해 2030년까지 재생 에너지 생산 3배 확대 및 미국의 기후 리더십 회복을 목표 ('24 민주당 정강정책)

- (트럼프/공화당) 큰 틀에서 對中 견제 정책은 지속될 것이나, IRA 개정 등 일부 민주당 정책에는 변화를 꾀할 가능성도 존재할 것으로 예상

 ※ 트럼프 후보의 대선 공약에서 핵심광물 관련 특별한 언급을 찾기 어려우나, IRA 전기차 보조금 축소 주장 등 기후변화 대응에 회의적

- 트럼프 진영은 중국의 핵심광물 지배를 통한 경제적 강압 위협을 우려하고 있는 만큼, 중국을 대체하는 핵심광물 공급망 재편 정책을 지속 추진할 것으로 예상 (2024 미국우선정책연구소)


==========================================================================================


중국의 과잉생산 문제 대응 관련 전문가 시각 소개

최용호‧박지연 전문관


■ 배경

○ 이번 「경제안보연구동향」은 중국 산업정책의 필연적 결과인 과잉생산이 가져오는 문제와 대응 방안을 제시한 전문가의 연구 소개  

- Foreign Affairs의 Friedberg* 논문은 중국의 약탈적 과잉생산 전략이 지속되면 중국이 공급망을 장악할 것이라고 지적하며, 시장 경제 국가들이 중심이 된 ‘무역 보호 연합(trade defense coalition)’을 구성하고 공동 관세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

* Aaron L. Friedberg(Princeton University 교수, 국제안보 및 동아시아 정치 전문가)

■ Stopping the Next China Shock: A Collective Strategy for Countering Beijing’s Mercantilism(’24.8.20. / Foreign Affairs / AARON L. FRIEDBERG)

○ (中 과잉생산 문제) 중국은 ▴막대한 보조금 투입 ▴시장 접근 제한 ▴환율 조작 등의 수단을 활용하여 자국의 생산 역량을 극대화하는 산업정책 추진 → 과잉생산 초래

- 약탈적 가격 설정으로 경쟁자들을 시장에서 퇴출하면, 중국은 전통 제조업을 넘어 첨단분야까지 공급망을 장악할 것이고, 미국 및 동맹·우방국의 중국 의존은 심화

○ (대응) 중국의 약탈적 전략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시장 경제를 지지하는 국가들이 중심이 된 ‘무역 보호 연합(trade defense coalition)’ 구성 필요  

- (참여 주체) ▴미국, EU, 영국, 일본, 한국 등 자유주의적 시장 경제를 운영하는 민주주의 국가와 ▴중국과의 비대칭적 관계로 피해를 보게 될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국가들까지 연합에 포함

- (작동 방식) ▴중국 저가 과잉생산품에 대한 공동 관세 부과 ▴국가안보 보호 혹은 공정 경쟁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의 핵심 산업 보호 등

○ (운영 방안) 무임승차 문제를 극복하고 연합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 제안

- ▴미국 등 핵심 국가들의 리더십 발휘 ▴행정부 협정이 아닌 의회 비준이 필요한 조약 형태로 추진하여 공약의 신뢰성 제고 ▴자동차 산업 등 협력이 가능한 부문부터 시작하여 연합을 점진적으로 확대 ▴공급망 가치사슬 내 부가가치 및 원산지를 공동으로 산정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중국산 비중에 따른 관세 부과 등

※ Rahm Emanuel 주일미국대사는 ’24.10.8자 WSJ 기고문에서 중국의 경제적 강압, 중상주의 등 경제전술에 맞서 동맹·우방국간 공동 대응 필요성을 주장하며, 상기 Friedberg가 제안하는 ‘무역 보호 연합’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NATO 5조(집단방위체제규정)와 같이, 경제적 공격을 받는 동맹국에 연합국들이 함께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 (An Alliance to Counter China’s Aggression: The U.S. and its allies can isolate Beijing economically by forming a new trade-defense coalition)